고등 석사/박사교육 과정
프랑스 박사 과정 소개: Ecoles et formations doctorales
많은 선진국들의 예처럼, 프랑스의 고등교육 및 공공 연구 시스템은 매우 국제화 되었습니다. 약 50%에 해당되는 논문이 해외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발표되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연구활동
프랑스는 GDP의 2% 이상(약 400억 유로)을 공공 및 민간 연구활동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현재 70 000여명의 박사(3분의 1이 외국인) 및 200 000여명의 연구원들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50% 가량이 공공분야의 학교나 연구기관에서 종사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연구원들의 화려한 수상경력
2008년에 파스퇴르 연구소의Françoise Barré-Sinoussi와Luc Montagnier는 에이즈의 원인이 되는 레트로바이러스의 발견으로 노벨의학상을 수상했으며, 같은 해에 Jean-Marie Le Clezio는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물리, 화학 분야에서Georges Charpak, Claude Cohen-Tannoudji, Albert Fert, Yves Chauvin이 노벨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총 52명의 Fields 메달 수상자 중 11명이 프랑스인이며 최근 2010년에는Cédric Villiani과 Ngo Bao-Chau가 수상했습니다. 2003년에 처음 생긴Abel상은 수학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이미 3명의 프랑스인들이 수상하였습니다. : Jean-Pierre Serre, Jacques Tits et Misha Gromov.
박사과정
프랑스내 300여개 고등 박사교육원(écoles doctorales)은 62 000명의 연구 교수들을 통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1 200여개의 연구소와 밀접한 관계를 통해 연구원들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박사과정은 박사 고등교육원에 연계된 연구팀 또는 연구협회(unité de recherche : UR) 및 논문 지도교수의 담당 하에 진행됩니다. 대부분 국립대학에 소속된 고등 박사교육원은 과학적 과제를 다루는 연구팀과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실행합니다.
프랑스에서는 매년 약 10 000개의 논문이 심사되고 있으며 이 중 외국인의 비율이 매우 높습니다. 석사 학위를 소지하거나 이에 준하는 외국 학위를 소지한 학생 모두 박사 과정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박사 과정은 최소 3년 동안 진행되며 논문 심사 후 박사 학위를 취득하게 됩니다.
논문의 재정적 지원문제는 과정 등록시 전제 요구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
고등 박사교육원(Ecoles doctorales)
고등교육기관에 소속된 고등 박사교육원은 연구팀과 연계하여 박사과정의 학생들을 지도합니다.
이 기관에서는 높은 수준의 과학연구교육을 제공하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 및 연구원으로서의 순조로운 진출을 위한 훈련을 목적으로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논문 준비 및 지도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박사과정 학생들은 학업을 진행하게 되는 기관으로부터 일정 수입을 보장받으며 이를 통해 학생비자가 아닌 연구비자로 프랑스에서 체류할 수 있습니다. (연구비자는 프랑스대사관 영사과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프랑스의 연구활동
프랑스는 GDP의 2% 이상(약 400억 유로)을 공공 및 민간 연구활동에 지원하고 있습니다. 현재 70 000여명의 박사(3분의 1이 외국인) 및 200 000여명의 연구원들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 50% 가량이 공공분야의 학교나 연구기관에서 종사하고 있습니다.
프랑스 연구원들의 화려한 수상경력
2008년에 파스퇴르 연구소의Françoise Barré-Sinoussi와Luc Montagnier는 에이즈의 원인이 되는 레트로바이러스의 발견으로 노벨의학상을 수상했으며, 같은 해에 Jean-Marie Le Clezio는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물리, 화학 분야에서Georges Charpak, Claude Cohen-Tannoudji, Albert Fert, Yves Chauvin이 노벨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총 52명의 Fields 메달 수상자 중 11명이 프랑스인이며 최근 2010년에는Cédric Villiani과 Ngo Bao-Chau가 수상했습니다. 2003년에 처음 생긴Abel상은 수학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이미 3명의 프랑스인들이 수상하였습니다. : Jean-Pierre Serre, Jacques Tits et Misha Gromov.
박사과정
프랑스내 300여개 고등 박사교육원(écoles doctorales)은 62 000명의 연구 교수들을 통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1 200여개의 연구소와 밀접한 관계를 통해 연구원들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박사과정은 박사 고등교육원에 연계된 연구팀 또는 연구협회(unité de recherche : UR) 및 논문 지도교수의 담당 하에 진행됩니다. 대부분 국립대학에 소속된 고등 박사교육원은 과학적 과제를 다루는 연구팀과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실행합니다.
프랑스에서는 매년 약 10 000개의 논문이 심사되고 있으며 이 중 외국인의 비율이 매우 높습니다. 석사 학위를 소지하거나 이에 준하는 외국 학위를 소지한 학생 모두 박사 과정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박사 과정은 최소 3년 동안 진행되며 논문 심사 후 박사 학위를 취득하게 됩니다.
논문의 재정적 지원문제는 과정 등록시 전제 요구조건이 될 수 있습니다.
고등 박사교육원(Ecoles doctorales)
고등교육기관에 소속된 고등 박사교육원은 연구팀과 연계하여 박사과정의 학생들을 지도합니다.
이 기관에서는 높은 수준의 과학연구교육을 제공하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 및 연구원으로서의 순조로운 진출을 위한 훈련을 목적으로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논문 준비 및 지도의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박사과정 학생들은 학업을 진행하게 되는 기관으로부터 일정 수입을 보장받으며 이를 통해 학생비자가 아닌 연구비자로 프랑스에서 체류할 수 있습니다. (연구비자는 프랑스대사관 영사과로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프랑스 대학 과정

프랑스의 대학은 1968년 사회개혁 이후 평준화되어, 학교간 우열의 구분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모두 공립인 82개 대학에서 프랑스 국가학위와 대학학위를 수여한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전공학과별 권위가 있다거나 장르가 맞는 교수진이 있을 경우 거기에 맞춰서 학교를 선택해야 할 것이다.
프랑스 대학과정은 3기로 나눠진다. 우리나라의 1, 2학년 과정에 해당하는 일반 교육과정 2년(D.E.U.G), 학사과정 1년(Licence), 석사과정 1년(Maitrise), 박사준비과정 1년(DEA), 박사논문과정 3-4년으로 되어 있다. 학교 교육제도상에서는 학위과정은 짧지만, 진급시험에 합격해야만 학년 진급이 가능하므로 외국인에게는 결코 쉽지 않다.
1기과정 등록
입학서류신청: 프랑스 대학의 1기(1, 2학년) 과정에 입학하려면 한국에서 응시할 경우, 프랑스 대사관 문화과의 어학?교육 협력과(317-8542)로 입학 원서를 요청하고 불어 시험을 치를 수 있다. 프랑스 현지에서 체류하고 있는 경우엔 해당 대학에 직접 요청할 수 있는데 이 때 1년 이상의 체류기간이 요구된다.
대학선택: 대학은 우선 순위로 1, 2지망까지 할 수 있다. 단 파리 지역의 대학은 한 곳만 선택이 가능하다.
입학허가를 못 받았을 경우: 만일 입학을 원하는 두 대학에서 모두 입학을 허가받지 못했을 경우엔, 7월 10일까지 프랑스 교육연구부에 재신청이 가능하며 9월15일 전에 입학 여부를 알 수 있다.
- 불어시험: 1기과정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불어시험을 거쳐야 한다. 2월중에 프랑스 문화원에서 실시하는 이 시험에서 20점 만점에 최소 10점 이상을 받아야 대학 지원이 가능하다.
- 등록일정:
12월15일-1월15일: 주한 프랑스대사관 문화과의 어학?교육 협력과 또는 프랑스 대학으로 입학원서 요청
1. 1월: 입학원서를 본래 배포한 기관인 어학?교육 협력과나 프랑스 현지 대학으로 접수 또는 발송
2. 2월: 정해진 불어 시험 일정(개별적으로 통보하거나 홈페이지에서 안내)에 따라 시험에 응시
3. 3월1일까지: 입학 원서와 불어시험 결과를 1지망 대학으로 발송
4. 4월: 1지망 대학에서 입학이 거부된 경우, 2지망 대학으로 서류 이송
5. 5월15일까지: 2지망 대학에서의 입학 허가여부 결정
이렇게 불어 시험을 보는 방법 이외에도, DALF 자격증을 따면, 매년 2월에 보는 불어시험을 보지 않고도 대학 1학년에 입학할 수 있다. 이 DALF자격증은 프랑스 현지에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볼 수 있다.
이 두 가지 방법 외에도 바깔로레아(BAC)이라고 하는 프랑스 고등학교 졸업시험에 응시하는 방법이 있는데, 프랑스에서 조기유학을(중등교육 받지 않은) 하지 않은 외국인이 BAC을 통과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2기 과정(학사: Licence, 석사: Maîtrise)
2기(3, 4학년) 및 3기(박사준비, 박사)과정에 입학하려면 입학하고자 하는 대학에 등록서류 요청 편지를 직접 보낸다. (이때 반드시 국제 반신 우표를 동봉할 것). 이 과정들로 들어가는 편입학 절차는 대부붑 서류 전형으로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필요한 서류들은 다음과 같다.
- 구비서류: 고등학교 졸업증명서, 대학교(대학원) 졸업증명서, 대학교 성적증명서, 호적등본, 등록신청서(각자 대학에 신청), 이력서, 유학동기서/연구계획서 등
이상의 서류들 가운데 대학에서 요구하는 서류들을 구비하여 2-3월경 대학에 보내면 매년 5-6월경 각 대학 심의위원회에서 학력동등 인정을 위한 심사를 한다. 대학에서 요구하는 서류들 가운데 한국어로 된 서류들은 주한 프랑스 대사관에서 공증을 받은 불어 번역본을 제출해야 한다.
- 학사(Licence) :
DEUG를 취득했거나, 대학 2년 이상의 과정을 수료한 학생은 대학측의 서류 심사를 거쳐 입학이 가능하다. 원칙적으로 1년 과정이나, 2년에 걸쳐 나눠서 공부할 수 있다. 외국학생일 경우, 수업량이 엄청나 어학능력을 충분히 키워놓지 않으면 학위를 통고하기가 힘들다.
- 석사(Maîtrise) :
프랑스 학사 학위 소유자나 한국에서 동일학과의 학사학위를 받은 학생이라면 입학이 가능함, 이 과정에 등록하고자 하는 학생은 사전에 자신의 전공분야에 적합한 교수를 선택, 학업 계획서를 제출하여. 교수로부터 지도학생으로 받아들이겠다는 동의서를 받아야 한다. 수업은 이론 수업 두 과목을 이수한 후 논문(Mémoire)를 제출하여 교수진들의 질문에 대답하는 논문발표회(Soutenance)를 거쳐 학위를 받는다.
3기과정(D.E.A., THESE)
박사과정은 1985년 이래 1년의 기초 박사 과정인 D.E.A.(Diplôme d'Etudes Approfondies)를 통과해야만 Doctorat 등록이 된다. DEA는 일정 이론 수업을 이수해야 하며, 자세한 논문 계획서 또는 논문의 일부를 제출, 교수회의 심의를 거쳐(Soutenance)학위취득이 가능하고, 이후 Doctorat에서 비로써 Thèse를 제출할 수 있다.(2-5년)
프랑스 대학과정은 3기로 나눠진다. 우리나라의 1, 2학년 과정에 해당하는 일반 교육과정 2년(D.E.U.G), 학사과정 1년(Licence), 석사과정 1년(Maitrise), 박사준비과정 1년(DEA), 박사논문과정 3-4년으로 되어 있다. 학교 교육제도상에서는 학위과정은 짧지만, 진급시험에 합격해야만 학년 진급이 가능하므로 외국인에게는 결코 쉽지 않다.
1기과정 등록
입학서류신청: 프랑스 대학의 1기(1, 2학년) 과정에 입학하려면 한국에서 응시할 경우, 프랑스 대사관 문화과의 어학?교육 협력과(317-8542)로 입학 원서를 요청하고 불어 시험을 치를 수 있다. 프랑스 현지에서 체류하고 있는 경우엔 해당 대학에 직접 요청할 수 있는데 이 때 1년 이상의 체류기간이 요구된다.
대학선택: 대학은 우선 순위로 1, 2지망까지 할 수 있다. 단 파리 지역의 대학은 한 곳만 선택이 가능하다.
입학허가를 못 받았을 경우: 만일 입학을 원하는 두 대학에서 모두 입학을 허가받지 못했을 경우엔, 7월 10일까지 프랑스 교육연구부에 재신청이 가능하며 9월15일 전에 입학 여부를 알 수 있다.
- 불어시험: 1기과정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불어시험을 거쳐야 한다. 2월중에 프랑스 문화원에서 실시하는 이 시험에서 20점 만점에 최소 10점 이상을 받아야 대학 지원이 가능하다.
- 등록일정:
12월15일-1월15일: 주한 프랑스대사관 문화과의 어학?교육 협력과 또는 프랑스 대학으로 입학원서 요청
1. 1월: 입학원서를 본래 배포한 기관인 어학?교육 협력과나 프랑스 현지 대학으로 접수 또는 발송
2. 2월: 정해진 불어 시험 일정(개별적으로 통보하거나 홈페이지에서 안내)에 따라 시험에 응시
3. 3월1일까지: 입학 원서와 불어시험 결과를 1지망 대학으로 발송
4. 4월: 1지망 대학에서 입학이 거부된 경우, 2지망 대학으로 서류 이송
5. 5월15일까지: 2지망 대학에서의 입학 허가여부 결정
이렇게 불어 시험을 보는 방법 이외에도, DALF 자격증을 따면, 매년 2월에 보는 불어시험을 보지 않고도 대학 1학년에 입학할 수 있다. 이 DALF자격증은 프랑스 현지에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볼 수 있다.
이 두 가지 방법 외에도 바깔로레아(BAC)이라고 하는 프랑스 고등학교 졸업시험에 응시하는 방법이 있는데, 프랑스에서 조기유학을(중등교육 받지 않은) 하지 않은 외국인이 BAC을 통과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2기 과정(학사: Licence, 석사: Maîtrise)
2기(3, 4학년) 및 3기(박사준비, 박사)과정에 입학하려면 입학하고자 하는 대학에 등록서류 요청 편지를 직접 보낸다. (이때 반드시 국제 반신 우표를 동봉할 것). 이 과정들로 들어가는 편입학 절차는 대부붑 서류 전형으로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필요한 서류들은 다음과 같다.
- 구비서류: 고등학교 졸업증명서, 대학교(대학원) 졸업증명서, 대학교 성적증명서, 호적등본, 등록신청서(각자 대학에 신청), 이력서, 유학동기서/연구계획서 등
이상의 서류들 가운데 대학에서 요구하는 서류들을 구비하여 2-3월경 대학에 보내면 매년 5-6월경 각 대학 심의위원회에서 학력동등 인정을 위한 심사를 한다. 대학에서 요구하는 서류들 가운데 한국어로 된 서류들은 주한 프랑스 대사관에서 공증을 받은 불어 번역본을 제출해야 한다.
- 학사(Licence) :
DEUG를 취득했거나, 대학 2년 이상의 과정을 수료한 학생은 대학측의 서류 심사를 거쳐 입학이 가능하다. 원칙적으로 1년 과정이나, 2년에 걸쳐 나눠서 공부할 수 있다. 외국학생일 경우, 수업량이 엄청나 어학능력을 충분히 키워놓지 않으면 학위를 통고하기가 힘들다.
- 석사(Maîtrise) :
프랑스 학사 학위 소유자나 한국에서 동일학과의 학사학위를 받은 학생이라면 입학이 가능함, 이 과정에 등록하고자 하는 학생은 사전에 자신의 전공분야에 적합한 교수를 선택, 학업 계획서를 제출하여. 교수로부터 지도학생으로 받아들이겠다는 동의서를 받아야 한다. 수업은 이론 수업 두 과목을 이수한 후 논문(Mémoire)를 제출하여 교수진들의 질문에 대답하는 논문발표회(Soutenance)를 거쳐 학위를 받는다.
3기과정(D.E.A., THESE)
박사과정은 1985년 이래 1년의 기초 박사 과정인 D.E.A.(Diplôme d'Etudes Approfondies)를 통과해야만 Doctorat 등록이 된다. DEA는 일정 이론 수업을 이수해야 하며, 자세한 논문 계획서 또는 논문의 일부를 제출, 교수회의 심의를 거쳐(Soutenance)학위취득이 가능하고, 이후 Doctorat에서 비로써 Thèse를 제출할 수 있다.(2-5년)
Diplôme Français
프랑스 고등교육 시스템은 유럽 고등교육 시스템 단일화에 발맞추어 그와 동일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학사, 석사, 박사로 구성된 LMD시스템은 고등교육 기간내에 이수한 학기 수에 근거하는 시스템이며 ECTS(European Credits Transfer System)라 불리는 학점체계는 유럽 전역의 고등교육 기관에서 동일한 효력을 가진다.
1. 학사 = 6학기 = 180 ECTS (Bac+3:바깔로레아 취득 후 3년)
2. 석사 = 10학기 = 300 ECTS(Bac+5:바깔로레아 취득 후 5년)
3. 박사 = 16학기(Bac+8:바깔로레아 취득 후 8년)
ㆍ국립고등교육기관에서 수여되는 국가학위는 모두 동일한 가치를 갖는다.
ㆍ이공계 학교에서 수여되는 엔지니어 학위 역시 국가학위로 <엔지니어 학위위원회(Commission des Titres d’Ingenieur)>의 인증을 받는다.
ㆍ상경계 학교 또한 국가의 인증을 받은 학위를 수여하며, 이는 교육부에서 인증하거나 특정학교에 부여되는 고유의 라벨을 통해 인증받기도 한다.
ㆍ예술학교 및 건축학교, 그리고 각종 분야의 전문학교에서도 국가 인증의 학위를 수여한다.
1. 학사 = 6학기 = 180 ECTS (Bac+3:바깔로레아 취득 후 3년)
2. 석사 = 10학기 = 300 ECTS(Bac+5:바깔로레아 취득 후 5년)
3. 박사 = 16학기(Bac+8:바깔로레아 취득 후 8년)
ㆍ국립고등교육기관에서 수여되는 국가학위는 모두 동일한 가치를 갖는다.
ㆍ이공계 학교에서 수여되는 엔지니어 학위 역시 국가학위로 <엔지니어 학위위원회(Commission des Titres d’Ingenieur)>의 인증을 받는다.
ㆍ상경계 학교 또한 국가의 인증을 받은 학위를 수여하며, 이는 교육부에서 인증하거나 특정학교에 부여되는 고유의 라벨을 통해 인증받기도 한다.
ㆍ예술학교 및 건축학교, 그리고 각종 분야의 전문학교에서도 국가 인증의 학위를 수여한다.
